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공의 안전과 사전통지

by rion2025 2025. 7. 13.

행정청은 원칙적으로 불이익 처분을 하기 전에 당사자에게 사전통지를 해야 하지만, 공공의 안전 또는 복리를 위한 긴급 조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1. 사전통지의 기본 원칙

행정절차법 제21조는 불이익 처분 전 사전통지를 규정하고 있으며, 이는 국민의 방어권과 절차적 정당성을 보장하는 헌법적 권리입니다.

2. 공공의 안전을 이유로 한 예외 규정

행정절차법 제21조 제4항 제1호: 공공의 안전 또는 복리를 위해 긴급히 처분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전통지를 생략할 수 있음

3. 예외 적용 요건

  • 공공의 생명·신체 보호 등 중대한 공익 위협
  • 즉각적인 조치가 불가피할 정도의 긴급성
  • 지체하면 회복 불가능한 피해 발생 가능성

4. 실제 사례

  • 감염병 대응 자가격리 및 입원조치
  • 붕괴 우려 건축물 사용 중지
  • 환경오염 사고 시 공장 가동 중지
  • 식중독 발생 의심 식당 영업정지

5. 관련 판례

  • 대법원 2009두23622: 감염병 대응 → 예외 인정
  • 서울고법 2018누54632: 대기오염 대응 → 정당
  • 서울행정법원 2017구합12455: 소음 민원 → 사전통지 생략 부당

6. 사후 조치 필요성

  • 사후통지를 통해 처분 사실과 이유 설명
  • 이의신청 및 심판 제기 안내
  • 자료공개와 입증 책임 이행

7. 실무 대응 전략

행정청: 정당한 이유 입증 자료 확보 및 사후조치 시행
국민: 사전통지 생략의 적법성 판단 및 권리구제 절차 활용

결론: 공공의 안전을 이유로 한 사전통지 생략은 정당한 요건과 절차 하에서만 가능하며, 행정청은 사후조치 의무를 성실히 이행해야 합니다. 국민은 절차 위반 여부를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