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기업의 행위와 행정절차법 적용 여부

by rion2025 2025. 7. 12.

공기업은 공공성과 기업성을 동시에 지닌 특수한 조직입니다. 그 행위가 민간과 같은 상업적 계약인지, 아니면 공공기관으로서의 행정처분인지에 따라 법 적용이 달라집니다. 특히 행정절차법은 행정청의 처분에 적용되는데, 과연 공기업의 행위도 이 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을까요? 본 글에서는 공기업의 법적 성격, 행정행위로 볼 수 있는 행위의 기준, 그리고 행정절차법 적용 여부에 대한 판례와 기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합니다.

공기업의 정의와 법적 지위

공기업은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된 기관 중 정부가 출자하거나 출연한 기관으로, 국가 또는 공공단체가 지배력을 행사하는 조직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으로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철도공사 등이 있습니다.

행정절차법 적용 요건: ‘행정청’과 ‘처분’

행정절차법 제2조는 행정청을 “행정기관 및 그 위임 또는 위탁을 받은 자”로, 처분을 “국민의 권리·의무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행위”로 정의합니다. 따라서 공기업이 행정청으로 간주되며 국민에게 처분을 한다면 행정절차법이 적용됩니다.

공기업이 행정청으로 인정되는 경우

  • 법령 위임: 공기업이 법률에 의해 행정권한을 위임받은 경우
  • 행정주체의 지시 수행: 정부의 위탁으로 국민에 대한 처분 수행
  • 판례 인정: 공법적 행위에 대해 행정절차법 적용 판결

공기업 행위의 적용 여부 판단 기준

  • 행위 성격: 공권력 행사 여부 (허가, 자격 취소 등)
  • 국민 권익 영향: 직접적인 권리·의무 변화 유무
  • 위임 여부: 행정기관의 권한 위탁이 있었는지

적용 사례 및 판례 분석

  • LH 입주 자격 탈락 통보: 행정처분으로 간주
  • 한전 요금 청구: 사법적 계약행위로 미적용
  • 도로공사 이용 제한: 일부 행정처분 해당 가능

공기업 처분 대응 전략

  • 해당 행위가 처분인지 여부 파악
  • 사전통지 및 의견 제출 여부 확인
  • 행정심판, 소송 등 불복 절차 활용
  • 정보공개청구 통한 내부자료 확보

공기업이 정부의 위임을 받아 국민에게 행정처분을 하는 경우, 그 행위는 행정절차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처분을 받았다면, 그 절차가 적법했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이의신청 또는 심판을 제기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