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의견제출권의 포기 여부

by rion2025 2025. 7. 13.

행정청이 불이익 처분을 하기 전에는 당사자에게 의견제출 기회를 제공해야 하며, 당사자가 이를 포기할 수 있는지 여부는 법적 쟁점입니다. 본 글에서는 포기의 가능성과 요건을 설명합니다.

1. 의견제출권의 법적 성격

  • 행정절차법 제22조 근거
  • 실질적 방어권, 적법절차의 핵심 요소
  • 고지는 행정청의 의무

2. 포기의 가능성과 한계

  • 명시적이고 자발적이어야 인정됨
  • 고지 전의 침묵은 포기 아님

3. 침묵 또는 불응의 효과

  • 기한 내 미제출은 실질적 포기로 간주 가능
  • 단, 고지의 명확성과 기한의 정당성이 전제되어야 함

4. 포기 의사 표시의 방식

  • 문서, 이메일, 녹취 등 명확한 수단
  • 제3자를 통한 전달이나 모호한 표현은 인정 안 됨

5. 관련 판례

  • 대법원 2008두2432: 침묵은 실질적 포기 가능
  • 서울행정법원 2016구합37842: 고지 없을 경우 포기 불인정
  • 부산고등법원 2021누20415: 구두 포기지만 증거 없으면 효력 없음

6. 실무 대응 전략

  • 행정청: 고지 명확히 하고 기록 유지
  • 당사자: 의사 명확히 표시, 서면 대응

결론: 의견제출권은 포기할 수 있는 권리지만, 그 요건은 엄격히 제한됩니다. 행정청과 국민 모두 정확한 절차와 기록 관리가 필수입니다.